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일기63

[JAVA]수열 합계 알고리즘(do~while문 + if문)3:플러그변수 문제3.(수열2)1-2+3-4+...+99-100 까지의 합계 구하기 [변수] i = 1씩 증가되는 숫자가 저장될 변수, 즉 i는 1,2,3,...,100까지 차례로 변경된다. J = i가 누적되어 저장될 변수, 즉 1-2+3,...,+99-100까지의 값이 저장된다. SW(플러그변수) = '+'와 '-' 중 어떤 연산자를 사용할지 판단할 수 있는 값이 저장될 변수 [실행결과] J = -50 해당문제는 1,3,5...의 홀수는 '+'연산으로 2,4,6...의 짝수는 '-'연산으로 합계를 구하는 문제이다. 여기서 SW라는 플러그 변수로 연산자를 지정하고 if문을 사용하여 변수 SW 값에 따라 연산을 다르게 해줌으로써 계산을 할 수있다. package java_Exam; public class Ex03 { .. 2020. 5. 6.
[JAVA]수열합계 구하기 알고리즘(do~while문)2 문제2.(수열1)1+3+5+7+...+99까지의 합계 구하기 [변수] i : 2씩 증가되는 숫자가 저장될 변수, 즉 i 는 1,3,5,...,99 까지 차례로 변경된다. J : i가 누적되어 저장될 변수, 즉 1+3+5,...,+99까지의 값이 저장된다. [실행결과] i=99, J=2500 이번 문제는 1~100까지의 숫자 중 홀수의 합계만을 구하는 문제이다. 순서도를 보면 아래와 같은데, i의 초기값을 -1로 잡은 것은 2씩 증가시키면서 처음 값이 1로 시작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변수 i가 99미만 까지 실행되어야하는데 만일 i < 100이면 i는 101까지 실행되기 때문에 99로 두어야한다. package java_Exam; public class Ex02 { public static void m.. 2020. 5. 6.
[JAVA]수열합계 구하기 알고리즘(do~while문) 정보처리 기사 실기시험에 자주 출제 되는 수열 합계 구하기 문제풀어보기. 문제1. (수열1)1+2+3+4+...+100까지의 합계 구하기 [변수] i : 1씩 증가되는 숫자가 저장될 변수, 즉 i 는 1,2,3,...,100 까지 차례로 변경된다. J : i가 누적되어 저장될 변수, 즉 1+2+3+4+...+100 까지의 값이 저장된다. [실행결과] i = 100, j = 5050 문제에서 주어지는 순서도의 빈칸을 다 채운 뒤 봐보면 다음과 같다. 변수 i는 100까지 증가시켜하고 증가되는 값들이 차곡차곡 변수 J에 누적되어야한다. 결과를 우선 말하자면 do ~ while문을 사용하여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do~while문은 자주 쓰이지 않지만 이같은 정보처리기사에선 정형화된 문제기 때문에, do ~ .. 2020. 5. 6.
[Oracle]데이터 무결성 제약 조건 2020/04/07 - [HTML/DataBase] - [Oracle]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CONSTRAINT) [Oracle]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CONSTRAINT)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이란, 테이블을 생성할 때 부적절한 자료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해 지켜야하는 규칙이다. 제약조건으로는 기본키, 유니크 키, NOT NULL,.. ga-you-ni.tistory.com 개념 정의 게시물😃 데이터 무결성 제약 조건 테이블에 유효하지 않은 (부적절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블을 생성할 때 각 컬럼에 대해 정의하는 여러가지 규칙. ▼ PRIMARY KEY : -테이블에 기본키를 생성한다. -PRIMARY KEY 제약조건.. 2020. 4. 22.
[Oracle]트랜잭션(Transaction) 관리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 처리에서 논리적으로 하나의 작업 단위를 의미." 트랙잭션 관리 :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오라클은 하나의 트랜잭션 역시 ALL-OR-NOTHING 방식으로 처리한다. DML 작업을 성공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COMMIT 명령을 작업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ROLLBACK 명령을 실행. COMMIT ROLLBACK -모든 작업들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겠다고 확정하는 명령어. -트랜잭션의 처리 과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해서 변경된 내용을 모두 영구저장. -COMMIT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면 하나의 트랜잭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작업 중 문제가 발생하여서 트랜잭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명령어. -ROLLBACK은 트랜잭션으로 인한 .. 2020. 4. 22.
[Oracle]DML(Data Manipulation Languagu)-INSERT, UPDATE, DELETE문 데이터 조작어(DML) 는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한 명령어의 집합이다. 테이블에 내용을 추가하는 INSERT문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명령어 --문법 INSERT INTO table_name (column_name1,..., column_namaN) //콜럼이름은 생략 가능 VALUES(column_value1,..., column_valueN); - 한 번에 하나의 로우만 INTO 다음에 명시한 테이블에 삽입한다. - 테이블 명 다음에 기술한 칼럼에 VALUES 절에서 지정한 컬럼 값을 순서대로 입력한다. - INTO 절에 칼럼을 명시하지 않으면 테이블을 생성할 때 정의한 컬럼 순서와 동일한 순서대로 VALUES 이하의 값이 입력되기 때문에 테.. 2020.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