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0

[postgreSQL][데이터 조회]select문 --1)select문 --일반적으로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쓰인다. sql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장 --(1)select문 문법 --select 추출대상컬럼 만약 테이블의 모든 컬럼을 다 보고싶다면 '*' --column_1 --,중략... --from추출대상 테이블명 입력 --table_name ; 세미 콜론으로 끝남 --(2)전체칼럼 조회 select * from customer ; --(3)지정칼럼 조회 select --3 FIRST_NAME --4 , LAST_NAME , EMAIL from --1 customer --2 ; --(4)ALIAS사용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줌, SQL 성능이 좋아짐 --DBMS -> 옵티마이저 ->최적화기 -> SQL ->가장 빠르게, 가장 저비용으.. 2021. 9. 13.
[SQLD] 자격증 준비 2021. 8. 29.
0813 수업 일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8. 13.
[JSP]JSP 지시자(지시어), 페이지에 공통요소(header,footer) include하기 page : 해당 JSP 페이지 전반적으로 환경을 설정할 내용을 지정한다. JSP 페이지에 대한 속성을 지시한다. 문법 2020. 7. 20.
DAO, DTO,MVC 패턴 개념 DAO(Data Access Object): 데이터 접근 객체 데이터 베이스에 관련된 작업(CRUD - Create, Retrive, Update, Delete *SQL DML+Select)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객체이다. DAO 안의 메서드를 모두 데이터 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한다. CRUD를 실행하는 메서드는 JDBC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해서 쿼리를 실행한다. DTO(Data Transfer Object) : 데이터 전송 객체 데이터 베이스의 테이블(Entity)에 해당하는 객체로 테이블의 컬럼들을 일대일로 저장할 수 있는 필드가 있고, getter/setter 메서드를 갖는다. DTO는 로직이 없다. 하나의 DTO가 하나의 행(row)에 해당되고, 대부분 DAO와 같이 사용된다. DA.. 2020. 7. 17.
[JSP] 쿼리 스트링( 파라미터) 쿼리스트링 예) http://localhost:8090/Ch03/loginServlet?userId=a&userPwd-b 쿼리 스트링( 파라미터) 이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할 때 요청 경로 이외에도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는 "Key=Value"형태로 전송된다. GET 방식에는 헤드에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헤드 부분은 웹 경로에 노출되므로 웹 브라우저의 경로 부분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로 시작을 하고 파라미터가 여러개면 &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헤드 길이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파라미터 크기에도 제한이 있다. POST 방식은 바디에 파라미터가 포함되므로 경로에 파라미터가 노출되지 않는다. POST 방식은 파라미터 크기에도 제한이 없다. 쿼리 스트링 처리 방법.. 2020. 7. 17.
반응형